Event JSON
{
"id": "3dc637e77a5fcc410b91fe177108fee9da191358c52c73f87532ded440288ad2",
"pubkey": "e4472fc947302c5a179bf7927cca0d87d3e43efe3b40303f285200f7caa1bfb1",
"created_at": 1736085626,
"kind": 1,
"tags": [
[
"imeta",
"url https://image.nostr.build/eac469fdce948e369140b4826cc51a69d85e04c26f5df0f3ca43aa3e319a6123.jpg",
"blurhash eJCFr4veE0.9H=x_NFNGo#i^0dp0%2Mwx]ITtRt7ROt8xuRkWBozNG",
"dim 2556x1179"
],
[
"imeta",
"url https://image.nostr.build/fc362f8c88874db76ec4624baee21090df83f7ba1ea830afec5f99e0c7ee7c1e.jpg",
"blurhash eQCOB[Nb1IR*]*xba}S4oJWAOFj[s.j@R*NxayxGoLNGW;f6oLfkWB",
"dim 2556x1179"
],
[
"imeta",
"url https://image.nostr.build/f1a65da7763b3ee020c86347a3afb84bfcbf1ecd33fbe070e84fe362cfe81dc0.jpg",
"blurhash eOBxWiNb1Ism]+o#fka}oJR%S$oLoMS2R%NxayxGayNGSNayoLoLWC",
"dim 2556x1179"
],
[
"imeta",
"url https://image.nostr.build/bfc7e37ecf0f5ea90338171230f4303f6bffcd761854a6f94b11ec418fb0c9e2.jpg",
"blurhash eOB-[BNb1Ism]*o#fkfRoJR%S$oLoMWVR%SOayxGj[NGSNayoLoLWB",
"dim 2556x1179"
],
[
"imeta",
"url https://image.nostr.build/e4b4362504bc38ae71bc3933d2394ab057ef0b512d0fabf665a023904f923d00.jpg",
"blurhash eMB_b-J81Isn]*o#a#oMsoNGS$oLj[WVWAShayxGj[NGS4WVs.oLR*",
"dim 2556x1179"
],
[
"r",
"https://image.nostr.build/eac469fdce948e369140b4826cc51a69d85e04c26f5df0f3ca43aa3e319a6123.jpg"
],
[
"r",
"https://image.nostr.build/fc362f8c88874db76ec4624baee21090df83f7ba1ea830afec5f99e0c7ee7c1e.jpg"
],
[
"r",
"https://image.nostr.build/f1a65da7763b3ee020c86347a3afb84bfcbf1ecd33fbe070e84fe362cfe81dc0.jpg"
],
[
"r",
"https://image.nostr.build/bfc7e37ecf0f5ea90338171230f4303f6bffcd761854a6f94b11ec418fb0c9e2.jpg"
],
[
"r",
"https://image.nostr.build/e4b4362504bc38ae71bc3933d2394ab057ef0b512d0fabf665a023904f923d00.jpg"
]
],
"content": "제로다크서티 처음 봤을 때가 언제였더라. 개봉하고 한참 지나서였을 것이다. 제시카 차스테인을 너무나 좋아하는 어느 트친 덕분에 알게 된 영화. 처음 본 건 아마 리서치회사 취업하기 전일 텐데, 계속 연구직으로 일했기 때문에 정보국 요원의 지루한 업무 과정을 그린 장면들이 반가웠다. 그 때는 군대도 외교도 국제정치도 잘 몰라서 이 작전의 의미나 디테일은 잘 몰랐다. 그냥 이렇게 (화려하지도 섹시하지도 않은) 자기 업무에, 미친 폭주기관차처럼 돌진하는 여자 실무자가 나오는 영화가 너무 드물어서, 오랜만에 발견한 보석같은 이 영화 속의 많은 장면들을 참 좋아했다. \n\n아무래도 소재가 소재인지라 이런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면 비판이 따라붙기 쉽다. 예전에는 그런 가능성을 걱정하는 내 삶이 싫었는데 지금은 그러려니 한다. 아마도 평소에 별다르게 민감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이런 영화 얘기도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들 넘어갈 것이다. 비판이 따라붙는다면 그건 그만큼 사람들이 내 발언이 갖는 여러가지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한다는 뜻이다. 무슨 숨겨진 의미가 있는 게 아닐까? 예전에 올린 다른 글의 진의도 사실은 달랐던 게 아닐까? 기타등등 기타등등. 불안감은 독자의 몫이다. 좋아하는 마음이 큰 독자일 수록 나의 발언과 행동 하나하나에 더 많이 흔들린다. 그만큼 내가 그들의 마음에서 차지하는 자리가 크기 때문에.\n\n트위터에서 몇 년 동안 그런 생활을 하면서 나 자신의 선택에 대한 기준이 높아진 만큼 나의 옆자리를 채워줄 사람에 대한 기준도 덩달아 높아졌다. 과한 기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. 아마도 높은 확률로 우리는 하나의 entity로 인지될 것이고, 그 사람의 선택에 대해 나 역시도 항상 일종의 입장문을 준비하고 살아야 할 것이다.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. 만약 부동산 같은 걸 함께 구매한다면 어떨까? 법적으로 내 소유물인 자산에 무슨 일이 생기면 법적인 소유주들이 함께 책임을 진다. 운명공동체라는 것도 비슷한 개념이다. \n\n알랭 드 보통이 \u003c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\u003e라는 책을 냈을 때 굳이 읽어보진 않았지만 나도 종종 그 질문을 잠재적 연인에게 던져보곤 한다.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? 내가 너의 수많은 선택들에 대해 함께 책임질 수 있으리라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. 그렇다면 왜 나는 너를 떠나는가? 그런 믿음이 사라졌기 때문이겠지. https://image.nostr.build/eac469fdce948e369140b4826cc51a69d85e04c26f5df0f3ca43aa3e319a6123.jpg https://image.nostr.build/fc362f8c88874db76ec4624baee21090df83f7ba1ea830afec5f99e0c7ee7c1e.jpg https://image.nostr.build/f1a65da7763b3ee020c86347a3afb84bfcbf1ecd33fbe070e84fe362cfe81dc0.jpg https://image.nostr.build/bfc7e37ecf0f5ea90338171230f4303f6bffcd761854a6f94b11ec418fb0c9e2.jpg https://image.nostr.build/e4b4362504bc38ae71bc3933d2394ab057ef0b512d0fabf665a023904f923d00.jpg ",
"sig": "c3e5a89d2b0b17b0099acb19cde26da8a36dd309bb1c70bd06b3138994f4fa0588c3f747b6b2c2606fa27ff5fa435b37362cc8cb6bfcd6695642f503279b70d8"
}